생활정보

브레이크에서 끽소리 원인 정리(마모, 윤활 부족, 습기 등)

트라허블로그 2025. 11. 7. 12:05
반응형

자동차 제동 장치는 패드, 디스크, 캘리퍼, 유압 시스템으로 구성됩니다. 제동력을 만들 때 마찰이 발생하며, 이 과정에서 마찰음이 자연스럽게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마모, 오염, 유격, 윤활 부족이 있으면 소리가 강해지고 불규칙해집니다. 브레이크에서 끽소리를 감지하였다면 마찰면의 상태 변화 또는 진동 전달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글에서는 원인과 점검 순서를 정리합니다.

브레이크에서 끽소리 대표 이미지

원인 파악: 소리 패턴부터 이해하기

브레이크 소음은 음색과 발생 조건으로 구분하면 진단이 쉬워집니다.
짧은 고주파음은 패드 겉면 문제, 반복적인 금속음은 패드 마모나 디스크 표면 불균일과 관련이 깊습니다.

확인 포인트

  • 제동 시작 시만 소리 발생
  • 주행 초반에만 들림
  • 비 오는 날 이후 악화
  • 저속 주차 시 유독 크다
  • 급제동 시 혹은 가볍게 밟을 때 발생

특히 저온·습도 후 마찰면에 녹 가루가 생겨 일시적으로 끽소리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주행 중 자연스럽게 소거됩니다.

단계별 점검 방법

1. 패드 상태 확인

패드 마모가 심하면 금속 접촉으로 높은 끼익음이 발생합니다.
마모 센서가 있는 차량은 경고등이 점등될 수 있습니다.

확인 기준

  • 패드 두께가 얇아졌는가
  • 편마모 흔적이 있는가
  • 패드 마찰면에 유분 오염이 있는가

패드 상태

2. 디스크(로터) 점검

로터 표면이 고르지 않거나 깊은 홈이 생기면 진동이 발생합니다.

주의할 점

  • 브레이크 페달 진동 동반 시 로터 변형 의심
  • 연속 하중 후 ‘열화음’이 들리면 열균열 확인 필요

로터

3. 캘리퍼 및 핀 윤활

캘리퍼 슬라이드 핀이 마찰면을 일정하게 잡아줘야 합니다.
윤활이 부족하면 미세한 유격으로 진동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비 포인트

  • 핀 고착 여부
  • 패드가 자유롭게 이동되는지
  • 체결 토크 이상 여부

윤활

4. 생활 환경 원인

가끔은 단순한 외부 요인입니다.

  • 빗물·세차 후 습기
  • 도로 염화칼슘 잔량
  • 모래·먼지 유입

이 경우 5~10분 정도 제동 반복으로 자연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환경 요인

예방과 관리 팁

소음을 줄이기 위해 무조건 교환할 필요는 없습니다. 먼저 조건 정리를 해두면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정기 점검 간격 준수
  • 과도한 급제동 피하기
  • 장기 보관 시 녹 생성 주의
  • 세차 직후 패드 건조 시간 확보

브레이크 주변에서 끽소리가 계속 지속된다면 초기 진단에 실패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단계적으로 원인을 줄여가는 방식이 안전합니다.

마치면서

브레이크에서 끽소리를 들으면 패드·디스크 마모, 윤활 문제, 습기 등 다양한 원인을 생각해야 합니다. 발생 조건을 기록하고 순차적으로 점검하면 불필요한 교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제동 장치는 안전과 직결되므로 소리의 변화가 반복된다면 정비소 점검이 바람직합니다.


브레이크에서 끽소리 나는데 당장 위험한가요?

위험 가능성은 원인에 따라 다르며, 금속 긁힘·페달 진동·주행 내내 지속된다면 빠르게 점검하십시오.

 

소음만 있는데 패드 교체해야 하나요?

마모 수준에 따라 다르며, 시각 점검이 우선입니다. 필요 없는 교환은 피하십시오.

함께하면 좋은 글

포맷 뜻, 그리고 컴퓨터 포맷이란 무엇인지 짧게 정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