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 정보

농약 종류 간단 정리(기본 분류, 제형별, 용도별, 보조제)

트라허블로그 2025. 9. 9. 15:28
반응형

처음 농사를 시작하면 가장 많이 듣는 말 중 하나가 “농약은 상황에 맞게 써야 한다”입니다.
하지만 막상 종류를 보려고 하면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부터 액상제, 수화제, 입상제 등 낯선 단어가 한꺼번에 쏟아져 혼란스럽습니다.
그래서 농약 종류 분류 기준에 따라 나눠서 이해하면 훨씬 쉽습니다.

농약 종류 대표 이미지

1. 기본 분류 – 작용 대상별

농약은 작물이 어떤 피해를 입었는지, 혹은 예방이 필요한 상황인지에 따라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구분 설명 대표예시
살충제 해충 방제 진딧물약, 응애약, 나방약
살균제 곰팡이·세균성 병 방제 흰가루병약, 역병약, 탄저병약
제초제 잡초 제거 글리포세이트, 파라콰트
기타 약제 생장조절제, 선충제, 쥐약 등 GA3 생장촉진제, 브로마디올론

2. 사용 형태 – 제형별

같은 농약이라도 제형에 따라 사용 방법과 장단점이 달라집니다. 초보자는 희석 편의성과 보관성도 고려하면 좋습니다.

제형 설명 장점 단점
액상제(EC, SL 등) 액체 상태, 물에 희석 사용 희석 간편, 혼합 균일 가격이 다소 높음
수화제(WP) 분말형, 물에 타서 사용 경제적, 보관 용이 침전되므로 계속 저어야 함
입상제(GR) 알갱이 형태, 토양 처리 지속 방제, 편리 즉각 효과 적음
유제(EC) 기름 성분 포함, 물에 희석 침투·흡수력 우수 약해 가능성 있음

3. 용도 – 시기와 목적별

농약은 시기와 목적에 따라 선택이 달라집니다. 예방과 치료를 구분하고, 안전사용기한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예방용 농약: 병해충 발생 전에 살포해 발병 억제
  • 치료용 농약: 이미 발생한 병해충 구제
  • 제초제: 잡초 발생 전·후 시기에 맞춰 토양 처리형, 접촉형 사용
  • 보조제: 농약 효과를 강화·유지시키는 첨가제

4. 보조제 종류와 역할

농약 보조제는 직접적으로 병해충을 죽이지 않지만, 약효를 극대화하는 중요한 조력자입니다.

보조제 기능 사용 예시 주의사항
전착제 약액이 잎 표면에 더 잘 달라붙고 고르게 퍼지도록 함 비 예보 전, 왁스층 두꺼운 작물(배추, 양배추) 과다 사용 시 약해 가능
침투제 약효 성분이 표피를 뚫고 조직 내부까지 침투하게 도움 해충이 잎 뒷면에 있거나 병이 내부에 퍼진 경우 농약과 혼용 시 반드시 라벨 확인
소포제 약액 희석 시 발생하는 거품 제거 동력분무기, 배터리 분무기 사용 시 거품 방지 사용량 최소화, 다른 보조제와 혼용 가능 여부 확인

마치면서

농약 종류를 기본 분류 → 제형 → 용도로 나누어 이해하면 선택이 훨씬 쉬워집니다.
여기에 전착제, 침투제, 소포제 같은 보조제를 적절히 활용하면 적은 양의 농약으로도 더 오래, 더 확실한 방제가 가능합니다.
다만, 보조제도 과다 사용 시 약해가 발생할 수 있으니 라벨 권장량과 혼용 가능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함께하면 좋은 글

농약 전착제 원리와 효과 그리고 종류와 주의사항

반응형